ORACLE 12g 기준 및 실무 영역으로 작성한 글임을 알려드립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행과 열을 바꿔 표현해야 하는 경우들이 있다.
분명 데이터의 한계는 BI툴로 극복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경우가 그런 것은 아니다. BI툴로도 해결하지 못하는 부분들을 쿼리로 해결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오늘 포스팅 주제는 PIVOT 함수이지만, 이론보다 실무 중심으로 예시를 들어보려 한다.

1. 피벗할 쿼리문에서 미리 기준을 정하고 집계한다.
2. 피벗 쿼리문에서 기준을 FOR에 집계값을 PIVOT에 위치시킨다.
3. 피벗된 컬럼은 기준 + 집계컬럼으로 문자열이 합쳐지기 때문에 따로 별칭을 부여한다.

물론 해당 예시는 이해를 돕기 위한 아주 간단하고도 용도가 없는 데이터지만 해당 방식으로 PIVOT 함수가 어떤 원리인지는 이해가 됐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하지만 생각보다 쓰는 경우가 적어 나도 익숙해지지 못한 함수이다. 연차가 더 쌓이기 전에 미리 재숙지 해놔야 할 것 같다.
추가 문의사항 혹은 해당 과정을 더 쉽게 진행할 수 있는 스크립트가 필요하신 분은 댓글 남겨주시면 자료 제공 및 성실히 도와드리겠습니다.
'SQL의 모든 것 > SQL의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DISTINCT(중복 제거) (0) | 2024.06.14 |
---|---|
오라클 RANK OVER() (0) | 2024.06.11 |
오라클 컬럼 순서 바꾸기 (3) | 2024.06.08 |
오라클 DML(INSERT, DELETE, UPDATE) (3) | 2024.06.06 |
오라클 CREATE TABLE [PARTITION BY] (5) | 2024.06.06 |